선더 포스 III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더 포스 III''는 1990년 출시된 횡스크롤 슈팅 게임으로, 이전 시리즈와 달리 횡스크롤 스테이지 형식을 채택했다. 플레이어는 5개의 스테이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게임을 시작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무기를 활용하여 적을 격파한다. 게임의 특징으로는 속도 조절 기능, CLAW 시스템, 그리고 8방향 이동과 3개의 버튼을 사용하는 조작 체계가 있다. 스토리는 은하 연방이 온 제국의 주성을 공략하기 위해 소형 전투기 FIRE LEO-03 "STYX"를 투입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게임은 그래픽, 사운드, 게임 플레이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아케이드, 슈퍼 패미컴, 세가 새턴, 닌텐도 스위치 등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비디오 게임 - 건 프론티어
건 프론티어는 우주 서부극을 배경으로 리볼버 모양의 전투기를 조종하여 우주 해적에게 잡힌 생존자를 구출하는 수직 스크롤 슈팅 게임이다. - 1990년 비디오 게임 - 사가 2: 비보전설
스퀘어가 1990년 게임보이로 발매한 롤플레잉 게임 《사가 2: 비보전설》은 과학 판타지 세계관을 배경으로 4인 파티가 실종된 아버지를 찾는 모험을 떠나는 게임으로, 전작의 시스템을 개선하고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여 게임성을 높였으며 2009년 닌텐도 DS로 리메이크되었다. - 슈팅 게임 - 탄막 슈팅
탄막 슈팅은 화면을 가득 채우는 탄막을 피하며 적을 격추하는 슈팅 게임의 하위 장르로, 《배츠군》에서 기원하여 《도돈파치》 시리즈를 통해 장르적 특징이 확립된 후 다양한 작품으로 발전해왔으며,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장르로 확장되고 한국 인디 게임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다. - 슈팅 게임 - SD건담 캡슐파이터
SD건담 캡슐파이터는 기동전사 건담을 원작으로 소프트맥스가 개발하고 넷마블에서 서비스한 온라인 게임으로, 다양한 모빌 슈트 수집 및 육성, 가위바위보 속성 시스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제공했으나 2015년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메가 드라이브 게임 - 미스 팩맨
미스 팩맨은 1981년 개발되어 미드웨이가 배급한 아케이드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미스 팩맨을 조작하여 미로 속 펠릿을 먹고 유령을 피하며 점수를 얻는다는 점에서 팩맨의 후속작이지만, 새로운 미로 디자인, 무작위 유령 행동 패턴, 커피 브레이크 화면, 움직이는 보너스 과일 등 차별화된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 플레이어 마케팅 전략과 완성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저작권 문제를 겪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 메가 드라이브 게임 - 스틸 탈론즈
1991년 아케이드로 출시된 헬리콥터 슈팅 게임 스틸 탈론즈는 다양한 무기를 사용해 싱글, 협동, 경쟁 플레이를 지원하며, 상업적 성공과 함께 그래픽, 현실적인 비행 모델, 스릴 넘치는 게임 플레이 등으로 호평받았다.
선더 포스 III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선더 포스 III |
영어 제목 | Thunder Force III |
시리즈 | 선더 포스 시리즈 |
장르 | 횡스크롤 슈팅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개발 정보 | |
개발사 | 테크노소프트 |
작곡가 | 오타니 도모미, 야마니시 도시하루 |
출시 정보 | |
플랫폼 | 메가드라이브, 아케이드, SNES, 세가 새턴, 닌텐도 3DS, 닌텐도 스위치 |
메가 드라이브 | 1990년 6월 8일 |
아케이드 | 1990년 12월 |
슈퍼 패미컴 | 1991년 12월 31일 |
세가 새턴 | 1996년 8월 27일, 1996년 12월 6일 |
닌텐도 3DS | 2016년 12월 22일 |
닌텐도 스위치 | 2020년 5월 14일 |
출시 (북미) | 1990년 10월 |
출시 (브라질) | Tec Toy |
기술 정보 | |
미디어 | 카트리지 (512KB) |
용량 (메가 드라이브) | 4Mbit |
용량 (슈퍼 패미컴) | 8Mbit |
용량 (세가 새턴) | CD-ROM 1장 |
용량 (닌텐도 3DS) | 3DS 카드, 다운로드 |
용량 (닌텐도 스위치) | 다운로드 |
2. 시스템
''선더 포스 III''는 이전 두 게임에서 사용되었던 자유 방향, 오버헤드 스테이지 형식을 제거하고 완전히 횡스크롤 스테이지 형식으로 대체했다.[11] 횡스크롤 형식은 시리즈의 새로운 표준이 되었다. 기본 조작은 II의 2버튼에 속도 조절이 추가된 3버튼 시스템으로, 이후로는 이 시스템이 정착되었다. 본작의 특기할 점은 톱뷰 스테이지의 폐지에 따른 전면적인 횡스크롤 게임으로의 이행과, 이동속도 조절 기능(4단계로 조절 가능)의 채용이다.[28]
플레이어는 시작할 초기 5개의 행성(히드라, 고르곤, 세이렌, 하이데스, 엘리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처음 5개의 스테이지가 완료되면 게임은 ORN 본부로 이어지는 3개의 스테이지로 이어진다. 스테이지 선택 기능은 본작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난이도와 시작 스테이지에 관계 없이 최후까지 진행이 가능하다. 타이틀에서 시작하면 스테이지 선택화면이 먼저 나오고, 스테이지를 선택하면 게임 본편이 시작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썬더 포스 II''의 무기 시스템이 일부 수정되어 이 게임에 다시 등장한다. 일부 무기는 재사용되거나 약간 수정되었고(강화 가능한 트윈 샷과 백 샷은 기본으로 유지), 다른 무기는 완전히 새롭고 이 게임에만 독점적으로 등장한다.
이번에는 플레이어의 기체가 파괴될 때 현재 사용 중이던 무기만 손실된다(기본 무기가 아닌 경우, 게임이 기본 난이도 설정으로 작동한다고 가정). 기본 난이도보다 높은 난이도에서는 기체가 파괴될 때 모든 무기가 손실된다. 난이도 부분은 IIMD에 있던 TRAINING이 삭제되고 대신 MANIA가 생겨 3단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난이도는 전체적으로 하향조정되었다.[28]
CLAW도 다시 등장하며 동일한 동작과 기능을 하지만, 이제 플레이어가 CLAW 아이템을 획득하면 기체는 자동으로 최대 2개의 CLAW를 얻는다(다시 말하지만, 모든 난이도에서 기체 파괴 시 CLAW가 손실된다). 또한 대부분의 무기를 사용할 때 CLAW는 기체를 따라 같은 무기를 발사한다(''그라디우스'' 게임의 옵션과 유사). 마지막 새로운 추가 기능은 플레이어의 기체가 이제 속도 설정을 갖게 되어 버튼을 눌러 4단계에 걸쳐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는 II의 횡스크롤 스테이지를 답습하고 있지만, 스테이지에 따라서는 세로, 대각선, 역스크롤 등의 변칙적인 스크롤도 사용되고 있다. 또 수중이 배경인 3스테이지에서는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거품에 닿으면 위로 떠오른다거나, 동굴 내부가 배경인 4스테이지나 기지 내부가 배경인 7스테이지에서는 지형이 움직이면서 진로를 막는 등의 연출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출은 해당 부분을 사전에 알아두지 않으면 진행의 걸림돌이 되었기에 '기억게임(覚えゲー일본어)'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4, 7스테이지의 연출도 특징적인 지형 등으로 출현 위치의 식별이 가능하여, 아무런 예고도 없이 갑자기 진로가 막혀버리는 IIMD의 8스테이지같이 난데 없지는 않다.
본작의 조작 체계는 8방향 이동과 3개의 버튼(샷, 무기 전환, 이동 속도 조절)이며,[28] 이 조작 체계는 『IV』 이후에도 계승된다. 자기에는 2종류의 샷이 처음부터 장비되어 있으며, 아이템을 획득함으로써 더욱 3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28]. 난이도는 NORMAL・HARD・MANIA의 3단계.[28]
FIRE LEO-03 "STYX"(스틱스)는 케르베로스에 반응하지 않을 정도로 소형이며, 대형 전함에 필적하는 화력을 갖추고 있다. 파일럿인 진 R. 펀 대위와 셸리 M. 주피터 소위는 연방의 마더 컴퓨터에 의해 선택되었다. 진은 은하 연방군 제110우주항공사단에 소속되어 있으며, 첫 번째 작품의 주인공 에이드라 펀의 손자이다. 또한 셸리는 은하 연방군 제119우주방위대대에 소속된 16세 소녀이며, 『II』의 주인공 라이드 A. 주피터와 디아나 린의 장녀이다.
타입 | 무장명 | 설명 |
---|---|---|
공격 | TWIN SHOT ↓ SEVER | 표준 장비의 전방 2연 발사 샷. |
강력한 전방 2연 레이저 공격. 아이템을 획득함으로써 트윈 샷과 교체된다. | ||
BACK FIRE ↓ LANCER | 표준 장비의 전후 방향 단발 샷. | |
강화 고속탄을 전방에 1발, 후방에 2발 발사한다. 아이템을 획득함으로써 백 파이어와 교체된다. | ||
WAVE | 거대한 초음파를 전방으로 날리는 광범위 공격. 지형을 관통하는 특성이 있지만, 파괴 가능한 지형도 관통하기 때문에 지형 파괴는 불가능하다. | |
FIRE | 전방으로 노멀 샷, 상하로 땅을 기어가는 미사일 공격을 한다. | |
HUNTER | 자동 추적 공격. 위력은 다른 무기에 비해 낮다. 지형을 관통하는 특성이 있지만, 파괴 가능한 지형이라도 관통하기 때문에 지형 파괴는 불가능하다. | |
공격 보조 | CLAW | 자 기체의 주위를 회전하는 유닛이며, 적탄을 무효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외각이 있으며, 자 기체의 폭파 시 이외에는 파괴되지 않는다. 본작부터, 아이템을 얻으면 자동으로 2개 장비되도록 되었다. 또한, 주 공격 정도의 위력은 아니지만, 공격의 보조도 한다. |
방어 | SHIELD | 적의 공격을 3번 방어하며, 붉게 변색된 후 데미지를 입으면 소멸하는 배리어. 장애물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으며, 차폐물을 통과하는 것도 가능하다. |
100년에 걸친 온 제국과의 전쟁으로 쇠퇴해 온 은하연방은 그 타개책으로 온 제국의 주성(主星)의 공략을 계획한다. 온 제국의 주성은 5개 행성에 흩어져 있는 워프 시스템과 무인 전함 케르베로스로 지켜지고 있어, 연방은 켈베로스에게 감지되지 않을 정도의 고성능 소형 전투기를 개발한다.
본작은 총 8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II』의 사이드 뷰 스테이지와 유사한 스타일이지만, 스테이지에 따라 위아래, 대각선, 뒤쪽 방향으로의 변칙적인 스크롤이 등장한다. SEIREN 스테이지(수중 맵)에서는 기포에 접촉하면 부력으로 수면으로 떠오르거나, HAIDES 스테이지(동굴 맵)에서는 천장이나 바닥이 갑자기 움직여 진로를 막는 등, 각 스테이지에 특징적인 장치가 풍부하게 마련되어 있다.[18] 반면에, 꽤나 다이내믹한 장치가 많아, 처음 플레이하는 사람이 통과하기 어려운 곳도 적지 않다. 또한, 미스로 인해 모든 파워업을 잃더라도, 모든 곳에서 막히지 않도록 배려되어, G로브스터(HAIDES 보스)나 최종 보스 등 적이 물량 작전으로 공격해 오는 곳에서도, 종이 한 장 차이로 돌파구를 열 수 있는 게임 밸런스를 갖추고 있다.
전작의 오타니 도모미(大谷智巳, TMO)에 야마니시 도시하루(山西利治, ふぁんき素浪人일본어)가 참여하여 두 사람이 절반 정도씩 작곡했다.[37] 효과음은 아라이 나오스케(新井直介, Yunker Matai)가 담당했다.[37] OST에는 게임 본편에서 용량 부족으로 삭제된 부분이 보완되어 수록되었다.[37]
''선더 포스 III''는 오리지널 제네시스 버전은 많은 찬사를 받았다. ''게임프로''는 "화려한 그래픽을 갖춘 정통 비행 슈팅 게임"이라고 칭하며, 크고 세밀한 적과 "복잡한 배경"을 언급했다. 또한, 게임이 매우 어렵고, 하드코어 슈팅 게임 팬들에게 가장 적합하다고 묘사했다.[11] ''메가테크'' 잡지는 시차 효과와 사운드, 게임 플레이를 칭찬했다.[12] 1992년 ''메가''는 이 게임을 역대 최고의 메가 드라이브 게임 17위로 선정했고,[13] 1997년 ''일렉트로닉 게이밍 먼슬리''는 역대 최고의 콘솔 비디오 게임 59위로 선정하며 제네시스 최고의 슈팅 게임이라고 칭했다.[14] 일본 게임 잡지 ''패미통''은 이 게임에 40점 만점에 31점을 부여했다.[3]
잡지 평가와 앙케이트 엽서를 통해 『썬더포스 II MD』가 호평을 받았지만, 테크노소프트의 스태프들은 메가 드라이브의 성능을 충분히 끌어내지 못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반성을 살려 본작 개발을 결정했다.[27]
[1]
웹사이트
Software List (Released by Soft Licensees)
https://sega.jp/hist[...]
Sega
2023-05-15
3. 스토리
썬더 포스 이후 약 100년, 썬더 포스 II의 직후를 배경으로 은하 연방은 오운 제국과의 전투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었다. 오운 제국은 자국의 영토 내 다섯 개의 주요 행성에 위장 장치를 설치하여 본부를 숨겨 은하 연방이 본부를 찾아 공격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또한 오운 제국은 대형 함선과 함대를 무력화하는 데 효과적인 원격 방어 시스템 케르베로스를 구축했다. 이를 알게 된 은하 연방은 케르베로스에 탐지되지 않을 만큼 작지만, 대형 스타파이터의 화력을 갖춘 FIRE LEO-03 스티스를 제작한다.
은하 연방은 다섯 개의 위장 장치를 파괴하고, 제국의 본부에 침투하여 오운 황제이자 생체 컴퓨터인 "카오스"를 파괴하는 임무를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스티스에 투입한다.
4. 스테이지 구성
MD판에 한해, 스테이지 셀렉트가 구현되어, 전반 5개의 스테이지(HYDRA, GORGON, SEIREN, HAIDES, ELLIS)에 한해, 시작 스테이지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18] 어려운 스테이지가 있어도, 그 스테이지를 먼저 선택하여 여러 번 연습함으로써, 공략의 실마리를 잡는 것이 가능하다.[18]
『AC』, 그리고 그 이식판인 슈퍼 패미컴(SFC)판 『선더 스피리츠』의 스테이지 일부는 『II MD』의 것으로 대체되었다.
스테이지 이름 왼쪽에 있는 문자는 M: MD판, A: AC판, S: SFC판에만 존재함을 나타낸다.
5. 음악
곡명 사용된 곳 작곡 The wind blew all day long 타이틀 오타니 도모미(大谷智巳) Beyond the peace 스테이지 선택 오타니 도모미(大谷智巳) Back to the fire 1스테이지 야마니시 도시하루(山西利治) Venus fire 2스테이지 〃 The grubby dark blue 3스테이지 〃 Truth 4스테이지 〃 Final take a chance 5스테이지 〃 His behaviour inspired us with distrust 6스테이지 오타니 도모미(大谷智巳) Hunger made them desperate 7스테이지 〃 Final point 8스테이지 야마니시 도시하루(山西利治) Gargoyle 1스테이지 보스 〃 Twin vulcan 2스테이지 보스 오타니 도모미(大谷智巳) King fish 3스테이지 보스 〃 G lobster 4스테이지 보스 〃 Mobile fort 5스테이지 보스 〃 Off luck 7스테이지 보스 〃 Be menaced by Orn 8스테이지 보스 〃 Stage clear 스테이지 클리어 야마니시 도시하루(山西利治) Dead end 게임 오버 〃 Continue 컨티뉴 〃 A war without the end 엔딩 〃 Present 스탭롤 〃
6. 평가
일본에서 ''게임 머신''은 1991년 2월 1일자에서 ''썬더 포스 AC''를 그 달의 16번째로 성공적인 테이블 아케이드 유닛으로 선정했다.[15]
발매 전부터 메가 드라이브 사용자들 사이에서 본작의 아름다운 그래픽에 주목을 받았으며, ''메가테크''는 사운드와 시스템에 더해, 시차를 이용한 점을 평가했다. 영국의 게임 잡지 ''민 머신즈''에서의 스코어는 86%였다.[34]
라이터 이나모토 테츠야는 당시 동 작품이 초견살로 알려져 있었던 것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당시의 메가 드라이브용 소프트를 플레이했던 유저라면 클리어 가능한 정도의 난이도였다고 회상했다.[18] 또한, 게임 시작 시 전반의 5개의 스테이지를 임의 선택제로 한 것으로 스테이지의 개요를 파악하기 쉬워졌다고 평가했다.[18]
한편, ''패미통''은 ''썬더 스피리츠'' 버전에 더 낮은 점수인 23/40점을 부여했다.[4] ''썬더 스피리츠''가 명성을 얻지 못한 이유로 하드웨어 성능의 차이 등이 거론된다. 라이터 단쵸는 메가 드라이브 미니 수록판의 게임 밸런스, 그래픽, 그리고 BGM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5]
7. 이식 및 후속작
''썬더 포스 III''는 1990년 6월 9일 일본에서 출시되었다.[3] 메가 드라이브/제네시스용 게임의 성공으로, ''썬더 포스 AC''라는 이름으로 아케이드 시장에 출시되었다. 세가의 시스템 C-2 하드웨어로 이식된 썬더 포스 AC는 메가 드라이브 버전과 그래픽적으로 거의 동일하며, 매우 사소한 차이점만 존재한다. ''썬더 포스 AC''는 이전의 ''썬더 포스 II''에서 적과 스테이지를 차용하고, 일부 오리지널 콘텐츠를 추가했기 때문에 ''썬더 포스 III''의 개편으로 묘사되었다. ''썬더 포스 AC''는 크레딧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1UP 아이템 감소, ALL 클리어 시 잔기 보너스, 획득 아이템 재획득 시 보너스 점수, 스테이지 셀렉트 생략, 소프트 연사 미탑재 등의 변경점이 있다.[24]
''썬더 포스 AC''는 1991년 도시바 EMI에 의해 슈퍼 패미컴으로 ''썬더 스피리츠''라는 이름으로 이식되었다.[4] SNES 버전은 레벨 선택이 제거되었고, 여러 레벨이 변경되었으며, 수정된 사운드트랙을 특징으로 한다. 슈퍼 패미컴 이식판인 ''썬더 스피리츠''는 원작과 다른 점이 많아 낮은 평가를 받았다.[16]
1996년, ''썬더 포스 III''는 세가 새턴용 ''썬더 포스 골드 팩 1''에 재발매되었다. ''썬더 포스 AC''는 역시 세가 새턴용 ''썬더 포스 골드 팩 2''에 재발매되었다.[5]
세가가 2016년에 이 시리즈의 권리를 사들였으며, ''썬더 포스 AC''는 2020년 5월에 ''세가 에이지스'' 라인의 일부로 전 세계 닌텐도 스위치로 재발매되었다.[6] 이 버전에는 쉬운 모드, 온라인 리더보드, 향상된 사운드 및 다양한 기타 개선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6]
닌텐도 3DS판은 2016년 12월 22일 출시되었으며, 무안경 입체시를 지원하고, 일본판과 해외판, KIDS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30] 2022년 12월 21일, 다운로드판의 배포 및 판매가 종료되었다.[26]
닌텐도 스위치판은 2020년 5월 14일에 출시되었으며, 3DS판에 준하는 이식에 ''썬더 포스 IV''의 기체들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 외에도 메가 드라이브 미니와 아스트로 시티 미니와 같은 복각 게임기에도 수록되었다.
8. 개발 비화
『II』의 앙케이트 결과에서 횡스크롤 스테이지에 대한 지지가 많았기 때문에, 본작은 횡스크롤 전용 게임으로 개발되었다.[28][30] 전담 기획자는 없었고, 프로그래머와 디자이너가 서로 논의하며 개발을 진행했다.[27] 야마니시 토시하루와 오오타니 토모미가 제작을 맡았으며, 일부 BGM의 편곡은 아라이 나오스케가 담당했다.
유한회사 M2의 호리이 나오키 대표는 3DS로의 이식을 담당하면서, 4메가비트라는 용량 안에서 다채로운 스테이지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기법들을 3D 입체 시화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회고했다.[30] 그는 "스테이지마다 하나하나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는 『건스타 히어로즈』와 마찬가지로 고생했으며, 동 작품의 노하우가 있었기에 『III』 복각판의 개발을 열심히 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30]
『SEGA AGES』 출시 소프트웨어 선정 과정에서 3DS판 때 취득한 테크노소프트의 IP를 활용하기로 결정되었고, 그 과정에서 소스 코드 없이 ROM을 역 어셈블하여 해석하고 『골드 팩 2』를 참고하여 조정한 끝에 『III』가 아케이드(AC)로 이식되었다.[29] 추가 요소인 자 기체 추가와 관련해서는 여러 문제로 인해 『IV』의 자 기체 "라이넥스"가 선택되었다.
참조
[2]
웹사이트
VG&CE_US_21.pdf
https://retrocdn.net[...]
[3]
웹사이트
サンダーフォースIII [メガドライブ]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07-27
[4]
웹사이트
サンダースピリッツ [スーパーファミコン]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07-27
[5]
간행물
Thunder Force V: The Classic 16-Bit Shooter Returns
Ziff Davis
1997-11
[6]
웹사이트
Sega Says Thunder Force AC Is Hitting The Switch eShop "Soon"
https://www.nintendo[...]
Gamer Network
2020-04-16
[7]
간행물
NEW GAMES CROSS REVIEW: サンダーフォースIII
https://archive.org/[...]
ASCII Corporation
1990-06-22
[8]
간행물
MegaTech rating
EMAP
1992-05
[9]
웹사이트
Thunderforce 3 - Sega Megadrive - Mean Machines review
http://www.meanmachi[...]
2018-07-27
[10]
웹사이트
Thunder Force III (Genesis) Review
https://web.archive.[...]
2022-05-16
[11]
간행물
Genesis ProView: Thunder Force III
https://retrocdn.net[...]
1990-11
[12]
서적
Thunder Force 3 Review
https://archive.org/[...]
EMAP
2020-12-18
[13]
간행물
Mega magazine
Future Publishing
1992-10
[14]
간행물
100 Best Games of All Time
Ziff Davis
1997-11
[15]
간행물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 テーブル型TVゲーム機 (Table Videos)
Amusement Press, Inc.
1991-02-01
[16]
웹사이트
サンダースピリッツ [スーパーファミコン]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07-27
[17]
문서
2015年4月1日から2020年3月31日まではセガの家庭用ゲーム機事業が「セガゲームス」の社名で展開されていたので、3DS版およびメガドライブミニもリリース日から当該期間中は「セガゲームス」名で発売されている。
[18]
웹사이트
【特集】【メガドラミニ全タイトルレビュー!】「サンダーフォースIII」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19-10-19
[19]
웹사이트
サンダーフォースIII [メガドライブ]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07-27
[20]
문서
初出時は曲名無し。『IV』のサウンドテストモードのアレンジ版以降より曲名が付いた。
[21]
문서
『II』に存在したステージをアレンジしたもの。
[22]
문서
Roll Gunnerはステージ4のボスだがステージ5の曲名になっている。
[23]
뉴스
新3人用TVガン「レーザーゴースト」 街中の妖怪撃破 セガ社から「サンダーフォースAC」基板も
https://onitama.tv/g[...]
1991-01-01
[24]
인터뷰
「SEGA AGES サンダーフォースAC」インタビュー テクノソフトが開発した伝説のシューティングが、今ここに甦る!
https://game.watch.i[...]
2020-09-05
[25]
문서
トゥエンティワン有限会社。当時テクノソフトのIPを保有していた企業で、セガはここよりテクノソフトブランドに関する権利取得を受けた(Switch版『IV』や『AC』などの紹介記事では大抵この経緯を記した一文がクレジットと併記されている)。
[26]
웹사이트
「セガ3D復刻アーカイブス3 FINAL STAGE」「3D アフターバーナーⅡ」販売終了のお知らせ |セガ
http://archives.sega[...]
2022-12-15
[27]
웹사이트
『サンダーフォースIII』はいかにして『セガ3D復刻アーカイブス3』に収録されることになったのか? 元テクノソフト新井氏を交えての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
https://www.famitsu.[...]
KADOKAWA
2018-04-29
[28]
문서
株式会社QBQ
[29]
웹사이트
新規収録タイトル2本目は驚きの『サンダーフォースIII』! 開発者による秘話が明かされた『セガ3D復刻アーカイブス3 FINAL STAGE』ステージをリポート
https://www.famitsu.[...]
2016-09-18
[30]
웹사이트
「セガ 3D復刻アーカイブス3 FINAL STAGE」インタビュー
https://game.watch.i[...]
Game Watch
2018-04-29
[31]
문서
30 Point Plus: サンダーフォースIII.ファミコン通信.
[32]
간행물
MegaTech rating
EMAP
1992-05
[33]
간행물
Mega magazine
Future plc
1992-10
[34]
웹사이트
Thunderforce 3 - Sega Megadrive - Mean Machines review
http://www.meanmachi[...]
2018-07-27
[35]
웹사이트
『メガドラミニ』レビュー連載その1。『サンダーフォースIII』『スペースハリアーII』『ダライアス』
https://dengekionlin[...]
2019-09-07
[36]
웹사이트
ミュージック フロム ゲームワールド:Track 206 「サンダーフォースIII&AC」「SQUARE ENIX Chill Out Arrangement Tracks」
https://www.4gamer.n[...]
Aetas
2020-11-13
[37]
문서
게임 오버 곡은 IV에서만 Dead end로 제목 붙여져 있고, III과 V에서는 Game over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동일한 곡인만큼 여기서는 Dead end로 통일표기한다
[38]
간행물
30 Point Plus: サンダーフォースIII
Weekly Famicom Tsūshin
1994-11-18
[39]
웹인용
サンダースピリッツ [スーパーファミコン] / ファミ通.com
https://www.famitsu.[...]
2018-07-27
[40]
잡지
Genesis ProView: ''Thunder Force III''
https://retrocdn.net[...]
1990-11
[41]
간행물
MegaTech rating
EMAP
1992-05
[42]
웹인용
Thunderforce 3 - Sega Megadrive - Mean Machines review
http://www.meanmachi[...]
2018-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